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휴대폰 활용 교통카드로 사용하기 티머니 모바일

by 백만그루 2023. 1. 4.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체크카드를 이용해 왔는데요. 올해는 티머니로 충전해서 사용해 볼까 합니다. 후불로 사용하는 것보다 충전해서 사용하는 것이 훨씬 절약하게 되더라고요. 해야지 하고 미루다가 새해가 되어서야 이용해보게 되네요. 아쉽게도 12월 마일리지 증정 행사는 놓치고 말았습니다.

그래도 1월 이벤트도 있으니까요. 핸드폰으로 티머니 모바일 앱을 이용해서 버스, 지하철을 이용해 보겠습니다.

 

1. 모바일 티머니

티머니 실물 카드가 없어지면서 모바일로만 새로 발급되는데요. 휴대폰에서 모바일 티머니 앱을 설치하면 가입화면이 나옵니다. 휴대폰 번호 인증 후 사용 권한 설정을 해주시고요. 절전 기능 예외 앱으로 설정 화면이 나오면 설정 버튼 누르세요. 원래 티머니 카드가 있었다면 입력란이 나오겠지만 전 없는 상태에서 새로 발급받는 건이라 티머니 카드(모바일) 발급이 진행됩니다. 확인 완료 후 서비스 가입란에서 성별, 통신사, 약관동의 사항이 나옵니다.

다음으로 서비스 선택입니다. 후불청구형, 충전형, 티머니카드 잔액조회용 이렇게 3가지 중 선택합니다. 전 선불 충전형을 선택했습니다.

현재 이벤트가 진행중인데요. 1월 동안 1만 원 이상 이용 고객 중 200명 추첨으로 신세계 상품권 3만 원이 증정된다고 하네요.

 

2. 선불형 충전

메인에서 충전을 누르면 충전 수단이 나옵니다. 신용/체크 카드, 휴대폰 결제, T마일리지, 상품권(문화상품권, 해피머니 상품권), 충전 기타-계좌이체(공인인증서, tcoin, 무료적립, 토스페이, 카카오페이, PAYCO, Lpoint가 있네요. 결제 수단에 따라 충전 이용료가 다른데요. 충전이용료 부담 zero 서비스로 매월 3000M이 제공되어 2.1%까지 공제가 되더라고요.

카카오페이로 충전해보려 했으나 2.5%이용 수수료에서 2.1%만 공제되어 1만 원 충전 시 140원의 이용료가 발생하더라고요. 아주 급한 경우가 아닌 이상 충전 이용료는 없는 경우로 이용하는 것이 좋겠지요.

그래서 이용료가 없는 후불형을 많이 이용하시나봐요. 전 일단 충전형으로 이용해보고 싶어서 기업은행 체크카드로 해서 2%(1만 원 충전 시 200원) 공제되어 이용수수료 없이 충전했어요.(신용카드는 2.1%입니다) 1만 원을 충전했으니 이제 타보러 가야겠지요.

후불청구형은 사용한 금액만큼 등록된 카드 대금으로 월1회 청구됩니다.

 

3. 지하철/ 버스 티머니 모바일로 타기

먼저 휴대폰 설정(톱니바퀴 모양 아이콘)에서 연결 및 공유 설정에서 NFC 기능을 켜두셔야 결제가 됩니다. NFC기능이 켜져 있었고 전원이나 화면이 꺼진 상태나 앱을 실행하지 않아도 결제는 가능합니다.

다른 카드로 사용할 때 처럼 단말기에 대어 주시면 결제가 됩니다. 완전 내려놓거나 딱 붙이는 것이 아닌 공간을 띄워 대어 주세요. 환승도 가능하고 환승 시 승차, 하차 때 모두 태그 해줍니다. 대중교통 결제금액의 최대 1%까지 적립이 되고 출석체크 등으로 추가 적립도 가능합니다.

 

4. 사용처

후불로 사용하다 충전으로 바꿔보니 결제되는 금액이 크게 와닿네요. 사용처가 여러 곳이라 페이 결제로 물건 구매도 해봐야겠습니다. 교통은 버스, 지하철, 택시, 시외/고속버스, 기차, KTX가 되고 편의점 마트는 GS25, CU,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이마트24, GS슈퍼, 홈플러스, 홈플러스익스프레스, 스토리웨이, 356플러스, 로그인편의점, 베스트올, IGA마트, 씨스페이스, 다이소, 스타벅스, 파리바게트, 던킨도너츠, 베스킨라빈스, 공차, 이디야, 엔제리너스, 카페 파스쿠치, 잠바주스, 빽다방, 쥬씨, 빚은, 커핀그루나루, 셀렉토커피, 카페띠아모, 맥도날드, 롯데리아, 하코야, 서가원, 오봉도시락, 올떡볶이, 석관동떡볶이, 한스델리, 죽이야기, 아리따움, 랄라블라, 더페이스샵, 이니스프리, 토니모리, 홀리카홀리카, 에버랜드(입장료, 식음료, 기념품, 리조트), 놀숲이 있네요. 아직은 버스, 지하철만 사용해 봤지만 쓸 수 있는 곳이 많아서 편리한 것 같네요.

 

5. 단말기에 대었는데 인식이 안될 때

얼마전에도 탈 때는 잘 되었는데 내릴 때 인식이 안되어 당황하시는 분을 봤는데요. 두꺼운 케이스 때문인 거 같습니다. 휴대폰마다 인식되는 위치가 약간씩 차이가 있습니다.

1) 휴대폰 환경설정-NFC 설정이 켜져 있는지 확인하기

2) 금속 성분 스티커가 부착된 경우 제거하기

3) USIM 재장착 후 시도하기

4) 경기/인천 지역 버스단말기의 경우 스티커 부분에 태그 해보기

5) 결제 단말기에 2-3cm 거리 두고 태그 해보기

6) 이용하는 지역이 티머니교통결제 가능지역인지 확인하기

7) 모바일에서 티머니 잔액이 표기 안될 경우 USIM 불량이어서 대리점에서 교체하기

 

휴대폰을 활용해서 사용하니 들고 다니는 물건 1개도 줄어들고 선불 충전으로 절약 효과도 있네요. 잘 참고하셔서 이용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